자동 블로그 포스팅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는 전체 구조를 먼저 이해하고 필요한 도구들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챕터에서는 Make와 GPT, Blogger를 활용한 자동화 흐름을 개괄적으로 설명하고, 실전 자동화를 위한 계정 및 설정 준비 단계를 안내합니다.
1. 전체 자동화 흐름도 이해하기
아이디어 또는 키워드 → GPT를 통한 글 생성 → Make를 통한 Blogger 자동 업로드
🔧 전체 흐름 단계별 설명
✅ 1단계: 콘텐츠 생성 요청
-
사용자가 직접 키워드를 입력하거나, 자동화된 트리거(예: Google Sheets, RSS 등)를 통해 글 생성 요청이 발생합니다.
✅ 2단계: ChatGPT API를 통한 콘텐츠 생성
-
OpenAI의 GPT API가 입력된 키워드나 주제에 따라 자동으로 제목, 본문, 이미지 설명 등을 생성합니다.
✅ 3단계: Make 시나리오 실행
-
Make.com에서 구성된 시나리오가 자동으로 작동하며, GPT가 생성한 글을 받아 Blogger API에 전달합니다.
✅ 4단계: Blogger에 글 자동 업로드
-
자동으로 제목, 본문, 이미지 등이 포함된 글이 블로그에 게시됩니다. 필요 시 예약 발행도 가능합니다.
Google Sheets에 키워드 입력 → Make가 감지 → GPT에게 글 요청 → 완성된 글 Make가 수신 → Blogger API에 전송 → 포스팅 완료
이런 구조의 프로그램이고 이런 것을 만든다는 것 입니다.
2. 필요 도구 및 계정 목록
위에서 말한 구조의 자동화 시스템을 원활하게 구축하려면 몇 가지 필수 도구와 계정을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각 요소는 자동화 흐름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므로, 하나라도 누락되지 않도록 순서대로 설정해 주세요.
✅ 1. Make.com 계정
-
용도: GPT API 호출부터 Blogger 포스팅까지 전체 흐름을 제어하는 핵심 자동화 플랫폼입니다.
-
가입 주소 https://www.make.com
-
주의사항:
-
가입 후 워크스페이스를 생성해야 시나리오 작성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무료 플랜은 월 1,000작업까지 제공되며, 간단한 테스트용으로 충분합니다.
✅ 2. OpenAI API 키
-
용도: GPT를 호출하여 블로그 글(제목, 본문, 태그 등)을 자동 생성하는 데 사용합니다.
-
주의사항:
-
유료 요금제를 사용해야 안정적인 API 호출이 가능합니다.
-
GPT-4 모델 사용 시에는 과금 단가가 다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3. Google 계정 (Blogger 연동용)
-
용도: Blogger API를 통해 자동 포스팅을 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
준비 방법:
-
기존 Gmail 계정을 사용하거나 새 Google 계정을 생성합니다.
-
해당 계정으로 Blogger에 로그인한 뒤 블로그를 하나 만들어 둡니다.
✅ 4. Google Cloud 설정 (Blogger API 권한)
-
용도: Make와 Blogger 간 연동을 위한 OAuth 인증 및 Blogger API 사용 설정에 필요합니다.
-
설정 절차 요약:
- Google Cloud Console에 로그인
- 새 프로젝트 생성
- Blogger API v3 활성화
- OAuth 클라이언트 ID 생성 (웹 애플리케이션용)
- Make에 리디렉션 URI 입력 및 자격 증명 등록
-
주의사항:
-
OAuth 인증은 Make에서 Google 계정 권한 요청 시 사용됩니다.
-
Make에서 Google 모듈을 처음 사용할 때 연결하도록 유도됩니다.
이 모든 요소를 준비해두면, 본격적으로 자동화 시나리오를 설계할 수 있는 기반이 완성됩니다. 다음 장에서는 적절한 요금제를 선택하고, 실제로 Make에서 시나리오를 어떻게 구성하는지를 안내합니다.
3. 프로젝트에 맞는 요금제 고르기
1.3 프로젝트에 맞는 요금제 고르기
Make는 다양한 요금제를 제공하며, 자동화 시나리오의 규모와 목적에 따라 적절한 플랜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장에서는 자동 블로그 포스팅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 요금제를 비교하고 추천드립니다.
🧾 요금제 비교 표 (2025년 기준)
| 요금제 | 월 가격 (연간 결제 기준) | 월 작업량(Ops) | 실행 간격 | 특징 |
|---|---|---|---|---|
| Free | $0 | 1,000 | 15분 | 테스트 및 학습용, 워크스페이스 2개 제한 |
| Core | $9 | 10,000 | 1분 | 소규모 블로그 자동화에 적합 |
| Pro | $16 | 40,000 | 1분 | 콘텐츠 다량 생성·복수 블로그 운영 가능 |
| Teams | $29 | 150,000 | 1분 | 팀 기반 협업 및 고성능 API 사용 |
| Enterprise | 맞춤형 | 무제한 | 맞춤 설정 | SLA, SSO 등 기업 전용 기능 포함 |
※ 가격은 VAT 및 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자동 포스팅 프로젝트별 요금제 추천
🧪 초보자/테스트용
- Free 플랜 추천
- 하루 한두 개 포스팅 테스트 시 충분
- 단점: 실행 간격 15분, 처리량 제한 큼
📰 개인 블로그 운영자
- Core 플랜($9/월) 추천
- 1일 10건 이상의 자동 포스팅도 무리 없음
- 비용 대비 가장 효율적인 구성
🔄 자동화 콘텐츠 대량 배포
- Pro 플랜($16/월) 또는 Teams 플랜
- 여러 블로그에 다중 언어 포스팅, 번역, 썸네일 처리 등 포함 시 유리
- 트리거 + 조건 + 반복 작업 포함 시 적합
💡 효율적으로 Ops(작업량) 절약하는 팁
- GPT 응답을 짧게 받아 필요한 정보만 추출
- 이미지 생성/처리는 조건부 실행
- 불필요한 로그 저장 모듈 제거
처음 시작할 때는 Free → Core → Pro 순으로 올라가는 방식이 가장 안정적입니다.
실사용이 늘어날수록 비용보다 시간 절약 효과가 훨씬 큽니다.
이제 자동화를 위한 전반적인 구조를 이해하고, 필요한 계정과 도구들을 준비했습니다. 다음 장부터는 실제로 Make에서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GPT와 Blogger를 연결하는 실전 설정 단계로 들어갑니다. 하나씩 따라가며 자동화의 세계를 체험해보세요. 마지막으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