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으로 글이 써지고, 정해진 시간에 블로그에 올라간다면 얼마나 효율적일까요? 이 챕터에서는 GPT API를 활용해 블로그 콘텐츠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Make 플랫폼을 통해 블로그 스팟(Blogger)에 포스팅하는 전 과정을 자동화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GPT API 키 발급부터 프롬프트 전략 수립, 본문/제목/이미지 대체 텍스트 자동 생성, 그리고 실제 Make 시나리오를 통해 자동 포스팅하는 방법까지 단계별로 상세히 안내합니다. 글을 일일이 쓰는 시간을 줄이고, 반복 가능한 콘텐츠 생산을 원하는 분께 가장 적합한 자동화 전략입니다.
1. GPT API 키 발급 및 사용법
- OpenAI 계정 생성 및 로그인
- 계정을 생성하고 로그인합니다.
API 키 발급
로그인 후 대시보드 상단 메뉴의API Keys탭 선택Create new secret key클릭 후 발급- 발급된 키는 한 번만 표시되므로 별도 저장 필요
- 사용법 개요
https://api.openai.com/v1/chat/completions엔드포인트를 활용
- 요청 시 헤더에 아래와 같이 입력:
- Authorization: Bearer [YOUR_API_KEY]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언제 사용하나요?
GPT를 자동화된 방식으로 사용하고 싶을 때, 즉:
- 자동으로 글을 생성하고 싶을 때
- 키워드를 넣으면 GPT가 자동으로 블로그 본문이나 제목을 생성하도록 함.
Make(옛 Integromat) 같은 자동화 플랫폼에서 GPT를 불러올 때
- 특정 시간마다 글을 생성하여 자동 포스팅하거나, 키워드 기반 글을 자동으로 만드는 시나리오 구성 시.
자체 웹/앱 서비스에서 AI 기능을 붙이고 싶을 때
- 예: 질문에 답하는 챗봇 만들기, 리뷰 자동 작성기 등.
✅ 어떻게 사용하나요?
1. HTTP 요청을 보낼 수 있는 툴이나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
Postman,Make,Zapier,Python,Javascript등에서 사용 가능
2. 아래와 같은 형태로 요청을 보냅니다:
3. GPT가 자동으로 응답을 생성합니다.
예: "여름철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선 수분 공급과 자외선 차단이 필수입니다…"
2. 프롬프트 설계 전략
GPT를 이용해 자동화된 블로그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서는 명확하고 구조적인 프롬프트 설계 전략이 필요합니다. 용도에 따라 나눌 수 있습니다:
(1) 키워드 기반 뉴스/정보형 글
프롬프트 예시
"{키워드}에 대해 사람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점을 알려주고, 그에 대해 정보성 블로그 글 형식으로 500자 이상 설명해줘."
전략
-
사용자가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제목, 문제 제기, 정보 제공
-
최신 트렌드 정보 반영 시
web scraping + GPT병행 가능
(2) 제품 리뷰/설명형 글
프롬프트 예시
"제품명: {제품명}, 기능: {기능 설명}, 특징: {특징}을 참고해서 이 제품을 설명하는 블로그 포스트를 500자 이상 작성해줘. 사용 후기 느낌을 포함해줘."
전략
-
JSON 형식으로 제품 정보 입력
-
실제 사용한 것처럼 후기를 추가
-
기능 및 장단점 명시
(3) FAQ 또는 Q&A 기반 콘텐츠
프롬프트 예시
"질문: {사용자 질문}, 이 질문에 대해 정확하고 간단한 답변과 함께 자세한 설명을 포함하는 블로그 포스트를 만들어줘."
전략
-
Naver 지식인/구글에서 자주 묻는 질문 기반 추출
-
Q&A 형태 or 요약 + 본문 형식 구성 가능
3. 글 내용 구성 자동화 (제목, 본문, 이미지 alt 텍스트 등)
구성 요소별 GPT 프롬프트 예시:
-
제목 생성
"키워드: {키워드}, 이 키워드를 포함해서 클릭을 유도할 수 있는 블로그 제목 5개 추천해줘." -
본문 생성
"아래 키워드를 포함해서 700자 이상의 블로그 본문을 작성해줘. 정보 제공, 장단점, 결론 포함. 키워드: {키워드}" -
이미지 ALT 텍스트
"키워드: {키워드}, 이 키워드를 포함해서 ALT 속성에 넣을 수 있는 간결한 설명을 1문장으로 작성해줘."
4. GPT로 자동 글 생성하기 (Make HTTP 모듈 활용)
Make 시나리오 설정 순서:
Trigger (예: Scheduler 모듈)
주기적으로 실행되도록 설정 (예: 매일 오전 9시)
HTTP 모듈 – OpenAI GPT 호출
-
Method:
POST -
URL:
https://api.openai.com/v1/chat/completions -
Headers:
Content-Type: application/json Authorization: Bearer [GPT API Key] -
Body (예시):
{ "model": "gpt-4", "messages": [ { "role": "system", "content": "You are a helpful blog writer." }, { "role": "user", "content": "키워드 '여름철 피부 관리'에 대해 블로그 글을 써줘." } ], "temperature": 0.7 }
GPT 응답에서
"content"값만 추출
![]() |
| 이렇게 나오면 성공입니다. |
Blogger 모듈 – 블로그 글 업로드
설정: Google 계정 OAuth 연동
게시자:
Title,Body,Labels등의 필드에 매핑자동으로 저장 및 발행 설정 가능
| 이런 결과가 나왔다면 정상적으로 작동한 것이다. |
알겠습니다, 신승엽님. 이어지는 2.5부터 2.7까지 내용을 실무 중심으로 자세히 구성해드리겠습니다. 아래 내용은 GPT 기반 블로그 자동화 시스템을 더욱 고도화하기 위한 핵심 기능들입니다.
5. 자동 키워드 수집 및 프롬프트 커스터마이징
📌 목적
사용자 검색 수요가 높은 실시간 인기 키워드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GPT에게 콘텐츠 생성을 요청하여 최신성과 노출 가능성을 높이는 전략입니다.
🔧 구현 방법
1) 키워드 수집 방법
-
Google Trends API 사용 (비공식 API 또는 웹 스크래핑)
-
네이버 급상승 검색어 스크래핑
-
쿠팡/다나와 인기 상품 키워드 크롤링
-
키워드를
JSON / CSV형태로 Make 시나리오에 전달
2) Make에서 프롬프트 자동 구성하기
-
Iterator 모듈을 활용해 키워드 배열 반복 처리 -
각 키워드에 대해 GPT 프롬프트를 자동 구성
"messages": [
{ "role": "user", "content": "‘{키워드}’에 대해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점을 알려주고, 블로그 글로 구성해줘." }
]
3) 예시 자동화 흐름
Scheduler → HTTP(키워드 크롤링) → Iterator(키워드 반복) → GPT 요청 → 게시
6. 글 검수 및 필터링 자동화
📌 목적
GPT가 생성한 글 중 부적절한 내용, 너무 짧은 글, 중복 콘텐츠를 자동으로 걸러내고 품질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 구현 방법
1) 필터 기준 정의
-
글자 수 300자 이하 필터링
-
욕설, 민감 주제 포함 여부 필터링
-
동일 제목/본문 중복 여부 체크
2) 활용 모듈
-
Text Parser: 문자열 길이 및 특정 단어 포함 여부 검사
-
Text Aggregator + Filter 모듈: 중복 제거
-
OpenAI GPT로 2차 필터링
예:"이 글이 부적절하거나 비전문적으로 느껴지는 부분이 있는지 100자 이내로 요약해줘"
3) 검수 후 처리 흐름
-
이상 없음 → 포스팅 진행
-
문제 있음 → Google Sheet 또는 Notion에 저장 → 수동 확인 또는 수정 요청
7. 이미지 자동 삽입 (Unsplash API 등 활용)
📌 목적
텍스트만 있는 블로그는 시각적 매력이 떨어지므로, 자동으로 관련 이미지를 삽입하여 가독성과 노출률을 높이는 전략입니다.
🔧 구현 방법
1) Unsplash API 사용
https://unsplash.com/developers 에서 API 키 발급
-
GET https://api.unsplash.com/search/photos?query={키워드}&client_id=YOUR_KEY형식으로 검색
2) Make 설정
-
HTTP 모듈에서 Unsplash API 호출
-
results[0].urls.regular또는small값을 이미지로 사용 -
alt 텍스트는 GPT로
"이 이미지를 대표할 수 있는 문장"생성
3) Blogger 모듈 연동
-
Blogger API에
<img src="...">형식으로 이미지 포함 -
GPT 본문 내용 중간 또는 최상단에 자동 삽입
✅ 예시 코드 삽입
<img src="https://images.unsplash.com/photo-xxx" alt="여름 피부 관리 대표 이미지" />
이제 GPT와 Make를 연결하면 정보형 글, 제품 설명, FAQ 콘텐츠를 손쉽게 자동 생성하고 게시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본 챕터에서 제시한 프롬프트 설계 전략과 HTTP 모듈 구성 방식은 반복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콘텐츠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다음 챕터에서는 여기에 자동 키워드 수집, 실시간 트렌드 반영, 이미지 자동 삽입 같은 확장 기능을 더해 보다 정교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해보겠습니다. 이제 콘텐츠 생산도 ‘자동화 시대’입니다.
.png)


